Home > Project
[교통] 김포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 리모델링
GIMPO International Airport Domestic Terminal Remodeling
김포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은 국내 최초의 공항으로서 1980년에 국제선 청사로 준공되었는데 30년이 지난 2009년에 노후화시설을 개선하기 위해서 리모델링 설계가 시작되었다. 터미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들이 편안하고, 즐겁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였을 뿐만아니라 김포공항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살리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한국의 한복의 곡선과 처마의 곡선을 모티브로한 천장 디자인이다. 천장에 사용한 알룰로드 흡음재는 마이크로 타공을 하여 실내 잔향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바꾸었고, 이는 기능성과 심미성를 둘 다 살린 디자인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휴먼스케일의 공항답게 실내 재료는 목재 및 따뜻한 색감의 소재를 사용하여 아늑함 마저 느껴진다.
외부 캐노피는 기존의 곡선 지붕의 언어를 자연스럽게 차용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만들었다. 답답하게 보였던 일반대합실의 콘크리트 바는 철거하고, 전면 커튼월을 리브그라스로 지지하여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콘코스는 이동하기에 좁고 길어 무빙워크를 설치하였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단면상 둥근곡선으로 연출하였다.
그밖에도 한국 최고의 공항 전망대를 만들었고, 어둡고 침침했던 사무동의 외부 사이공간을 아뜨리움으로 조성하여 고객과 직원들에게 새로운 쉼터를 만들어 주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한국의 한복의 곡선과 처마의 곡선을 모티브로한 천장 디자인이다. 천장에 사용한 알룰로드 흡음재는 마이크로 타공을 하여 실내 잔향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바꾸었고, 이는 기능성과 심미성를 둘 다 살린 디자인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휴먼스케일의 공항답게 실내 재료는 목재 및 따뜻한 색감의 소재를 사용하여 아늑함 마저 느껴진다.
외부 캐노피는 기존의 곡선 지붕의 언어를 자연스럽게 차용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만들었다. 답답하게 보였던 일반대합실의 콘크리트 바는 철거하고, 전면 커튼월을 리브그라스로 지지하여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콘코스는 이동하기에 좁고 길어 무빙워크를 설치하였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단면상 둥근곡선으로 연출하였다.
그밖에도 한국 최고의 공항 전망대를 만들었고, 어둡고 침침했던 사무동의 외부 사이공간을 아뜨리움으로 조성하여 고객과 직원들에게 새로운 쉼터를 만들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