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Insight > G.Style

만성초등학교 건축가_진교남

Architect Chin Kyo Nam

“따라서 학교 환경은 학교 밖의 사회와 문화와 동일한 것이어야 하며, 이러한 실질적인 사회생활의 배경이 되는
학교공간은 소규모의 도시와도 같이 계획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공적인 공간과 개인적인 공간, 광장, 대
로와 골목길, 도서관, 아늑한 공간, 상징적 공간 등 다양한 관계가 학교환경에도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Q.최근에 교육 선진국을 중심으로 학교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건축적 대안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
이며, 향후 학교건축의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하리라 예측하십니까?

A. 현재 선진국들이 그들의 교육과 학교건물에 대해 쏟는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하고 현실적인 것 같습니
다. 가장 먼저 언급할 분야는 학교시설의 상태와 환경이 학습 성과 및 창의력, 그리고 학생과 교사들의 정신과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는 교육시설에 대한 예산과 늘어나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친
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안에 관한 부분입니다. 세번째가 교육 개념의 긍정적 변화인데, 개인적으로 현시대에
가장 필요한 변화가 아닌가 합니다. 왜냐하면 교육의 발전방향은 결국 학생들이 ‘Global Issue’들에 대한 폭넓
은 이해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의 시민보다는 보다 책임감있고 영향력있는 ‘Global Citizen’이 될 수 있는 균형 잡
힌 사고와 지식을 습득하는 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 그렇다면 학교시설과 환경이 교육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A. 단적인 사례로 최근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새로 리노베이션을 했거나 신축학교와 같이 자연채광, 환기와 같
은 기반환경이 우수한 학교의 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환경의 학생들보다 시험성적, 학습이해도, 건강 및 ‘왕따’
문제 해결에 현저히 효과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충치 발생율에도 차이
가 있다고 하니 자연채광이나 환기가 잘되는 쾌적하고 기분좋은 환경이 우리 아이들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얼마
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실감하게 됩니다.

Q. 두번째 언급하신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어떻게 학교건축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A.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학교 건물이란 상당히 포괄적인 이슈와 영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이 창의적인 사고와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의 설계 외에도 새로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같은 시스템 구축, 그리고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의 가변성도 중요
합니다. 일부 학교는 우리가 익숙해져 있는 교실 개념보다도 훨씬 복합기능적이며 동시에 가변적인 공간을 요구
합니다. 교실이 없어지고 토론 응접실, 미디어 도서실, 실험체험실 등으로만 이루어진 ‘Classroomless’ 학교는
심지어 학년의 분할이 없어진 신개념 학교로 북유럽, 북미, 일본에서 이미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도시 학교
의 텃밭, rooftop garden 가꾸기 등의 친환경 교육이 강화되는 것은 교과서 위주의 간접적 교육의 한계를 탈출하
려는 노력의 일부입니다. 이런 교육은 분명히 생태계의 지식 교육 외에 인성적, 감성적 교육의 엄청난 효과가 있
을 것입니다. 자연과 인간, 생산과 분배, 음식의 귀중함, 좋은 음식, 식습관 등이 모두 연계된 중요한 교육이라
봅니다.

Q. 세가지 관점에서 학교건축 트렌드를 짚어주셨는데, 결론적으로 학교는 어떻게 지어져야 할까요?

A. 학교란 개념은 인간이 사회공동체의 전반에 대해 느끼고 배울수 있는 일종의 체험장이자 실험장이라고 생각
합니다. 체험과 실험을 통한 교육은 책과 연필, 그리고 교사의 설명으로만 이루어지는 단순한 교실공간(단상과
책상의 대립배치)보다는 다양하고 가변적이며 동시에 개방적인, 다시 말해 민주적인 공간에서 가능합니다. 이런
공간 속에서 학생들은 사회의 진정한 구성원으로서 갖춰야 할 인성과 사고를 연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학
교의 환경이나 공간의 퀄리티는 그 사회의 교육과 사회, 문화의 퀄리티와 직접적 영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
라서 학교의 환경은 학교 밖의 사회와 문화와 동일한 것이어야 하며 이러한 실질적인 사회생활의 배경이 되는
학교공간은 소규모의 도시와도 같이 계획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공적인 공간과 개인적인 공간, 광장, 대
로와 골목길, 도서관, 아늑한 공간, 상징적 공간 등 다양한 관계가 학교환경에도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건축가 진교남 (주)간삼건축 설계7본부 본부장/전무
현재 설계 7본부 본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오랜 해외 활동을 통해 세계 여러나라의 건축 특성을 이해하고 있
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건축 디자인을 추구하는 건축가이다. 연구소, 연수원,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을 중
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LG사이언스 파크, 수원미술관을 진행중이며, 한국은행 인재개발원, 명동
대성당 종합계획, GIST 광주과학기술원 2단계, 서울대학교병원 메디컬HRD센터, 조선일보 뉴지엄, 영남대학교
의료원 호흡기질환전문센터, 동두천경찰서 등을 설계했다.

g_style
  • Published

    august, 2014 / vol.38
  • Main theme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 Pages

    120
related